가능한한 과제 조건따라 해주시는게 좋을 것 같아용. 기본적인 것들을 이용해서 과제를 해결해보는 것도 기초 강좌에서는 의미가 있더라구용
+0
2019년 5월 17일
저도 예전에 다른 함수 썼다가 위와 같이 피드백을 받았었거든용.ㅎㅎ
+0
2019년 5월 17일
range를 써서 index 값을 리턴한 후에 그걸로 for문을 돌리는 것이 나은 코딩인지 아니면 for문 하나만 쓴 후에 그 값을 index 함수로 위치값을 뽑아내는게 나은 코딩인지를 모르겠네요
+0
2019년 5월 17일
저도 이 과제 한지가 오래되서... 코드를 올려주실 수 있을까용? 어떤 거였는지 기억이 안나네용 ㅠㅠ
+0
2019년 5월 17일
제 코드는
+0
2019년 5월 17일
numbers = [2, 3, 5, 7, 11, 13, 17, 19]
+0
2019년 5월 17일
for i in numbers:
+0
2019년 5월 17일
print (("%d %d") % (numbers.index (i), i))
+0
2019년 5월 17일
이고
+0
2019년 5월 17일
for i in range (len (numbers)):
+0
2019년 5월 17일
print (i, numbers [i])가 답입니다
+0
2019년 5월 17일
질문하기에 코드도 올릴 수 있으니 팁을 참고하시면 될거에용 ㅎㅎ
+0
2019년 5월 17일
아 넵 감사합니다.
+0
2019년 5월 17일
제 생각엔 혹시 복잡도라는 개념을 아신다면 index()는 O(n)이거든용. 반복문을 돌면서 O(n)의 복잡도를 가진 함수를 쓰는 것 보다는 해설이 어떤 거였는지 기억나진 않지만 이중반복문이 아니라면 해설의 방법이 더 나을 것 같습니당
+0
2019년 5월 17일
복잡도는 아직 안 배워서 개념은 모르겠네요. 감사합니다.
+0
2019년 5월 17일
간단하게만 말씀드리면 O(n)은 리스트가 커지면 커질수록 그만큼 오래 걸린다고 생각하시면 돼용. list[index]의 형태는 O(1)이기 때문에 제 생각엔 numbers[i]를 쓰시는게 좋을 것 같습니당^^ 뒷부분에서 간단하게 배우니 기억해두셨다가 그 때 다시 떠올려보시면 좋겠어용. 기초강좌 끝나고 알고리즘 공부해보시는 것도 재밌을 거에요^^(어렵지만..ㅠㅠ)
댓글 16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