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 질문

Q

해당 과제에 Range를 꼭 써야하나요?

조회 487

좋아요 2

2019년 5월 17일




댓글 16

2019년 5월 17일
가능한한 과제 조건따라 해주시는게 좋을 것 같아용. 기본적인 것들을 이용해서 과제를 해결해보는 것도 기초 강좌에서는 의미가 있더라구용
2019년 5월 17일
저도 예전에 다른 함수 썼다가 위와 같이 피드백을 받았었거든용.ㅎㅎ
2019년 5월 17일
range를 써서 index 값을 리턴한 후에 그걸로 for문을 돌리는 것이 나은 코딩인지 아니면 for문 하나만 쓴 후에 그 값을 index 함수로 위치값을 뽑아내는게 나은 코딩인지를 모르겠네요
2019년 5월 17일
저도 이 과제 한지가 오래되서... 코드를 올려주실 수 있을까용? 어떤 거였는지 기억이 안나네용 ㅠㅠ
2019년 5월 17일
제 코드는
2019년 5월 17일
numbers = [2, 3, 5, 7, 11, 13, 17, 19]
2019년 5월 17일
for i in numbers:
2019년 5월 17일
print (("%d %d") % (numbers.index (i), i))
2019년 5월 17일
이고
2019년 5월 17일
for i in range (len (numbers)):
2019년 5월 17일
print (i, numbers [i])가 답입니다
2019년 5월 17일
질문하기에 코드도 올릴 수 있으니 팁을 참고하시면 될거에용 ㅎㅎ
2019년 5월 17일
아 넵 감사합니다.
2019년 5월 17일
제 생각엔 혹시 복잡도라는 개념을 아신다면 index()는 O(n)이거든용. 반복문을 돌면서 O(n)의 복잡도를 가진 함수를 쓰는 것 보다는 해설이 어떤 거였는지 기억나진 않지만 이중반복문이 아니라면 해설의 방법이 더 나을 것 같습니당
2019년 5월 17일
복잡도는 아직 안 배워서 개념은 모르겠네요. 감사합니다.
2019년 5월 17일
간단하게만 말씀드리면 O(n)은 리스트가 커지면 커질수록 그만큼 오래 걸린다고 생각하시면 돼용. list[index]의 형태는 O(1)이기 때문에 제 생각엔 numbers[i]를 쓰시는게 좋을 것 같습니당^^ 뒷부분에서 간단하게 배우니 기억해두셨다가 그 때 다시 떠올려보시면 좋겠어용. 기초강좌 끝나고 알고리즘 공부해보시는 것도 재밌을 거에요^^(어렵지만..ㅠㅠ)

(주) 코드잇

대표강영훈

개인정보보호책임자강영훈

이메일support@codeit.kr

사업자 번호313-86-00797

통신판매업제 2019-서울중구-1034 호

주소서울특별시 중구 청계천로 100 시그니쳐타워 동관 10층 코드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