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번 change = payment - cost payment = 보유 현금 (100000) cost = 지불해야하는 현금 (33000) change 는 잔돈이 됩니다 (67000) ------------------------------ 여기까지는 이해되셨나요?
2번 /와 %의 의미 정수로 가정 10 / 2 는 5 라는 정수값이 나옵니다. 10 % 2 라고 하면 0이 나옵니다 /는 우리가 평소 알던 나누기이며 %는 나머지를 뜻합니다. ------------------------------------- 각 연산자를 이해하셨을까요 ?
3번 fifty_thousand = change // 50000 change = 67000이었던 값을 fifty_thousand에 대입해줍니다 ten_thousand = (change % 50000) // 10000 change % 50000 하게 되면 17000이 나옵니다
댓글 4개
change = payment - cost
payment = 보유 현금 (100000)
cost = 지불해야하는 현금 (33000)
change 는 잔돈이 됩니다 (67000)
------------------------------
여기까지는 이해되셨나요?
2번
/와 %의 의미
정수로 가정
10 / 2 는 5 라는 정수값이 나옵니다.
10 % 2 라고 하면 0이 나옵니다
/는 우리가 평소 알던 나누기이며
%는 나머지를 뜻합니다.
-------------------------------------
각 연산자를 이해하셨을까요 ?
3번
fifty_thousand = change // 50000
change = 67000이었던 값을 fifty_thousand에 대입해줍니다
ten_thousand = (change % 50000) // 10000
change % 50000 하게 되면 17000이 나옵니다
five_thousand = (change % 10000)//5000
change % 10000 하면 7000 입니다
one_thousand = (change % 5000)// 1000
change % 5000하면 3000입니다
fifty_thousand = 67000
ten_thousand = 17000
five_thousand = 7000
one_thousand = 3000
--------------------------------------------------------------------
4번
.format를 이용해서 표현을 하게되면 어떤 프린트문이 나올까요 ?
50000원 지폐: 67000장
10000원 지폐: 17000장
5000원 지폐: 7000장
1000원 지폐: 3000장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네 이해할 필요도 없는 코드였습니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