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 궁금했었는데 이해해버렸어요.. int가 왜 들어가나 했더니 숫자로 다시 변환할라고 와...
+0
2023년 5월 14일
"하지만 우리는 숫자를 누적해서 더해주어야 하기 때문에 int 함수를 통해 형변환을 해서 다시 숫자로 만들어주는 것이죵." 에서 질문이 있습니다. 그러면 문자열인 "12345"가 int("12345") 함수 과정을 거치면 정수 15가 된다는 말씀인가요? 이부분이 이해가 좀 안됩니다. 제가 int()함수를 잘 못 이해하고 있는 것인지요?
+0
2023년 5월 14일
네, int() 문자형을 정수형으로 변환해줍니당. 혹시 어떻게 이해를 하고 계신걸까용?
+0
2023년 5월 18일
int()는 ()에 들어가는 모든 문자를 더해주는 기능이 기본적으로 들어가 있는 건가요? 즉 int("12345")는 원래 int()함수가 1+2+3+4+5해주는 기능이 원래 내재화되어있다는 말씀인가요? 마치 글자 하나하나씩을 더해준다는 개념으로 말인가요? 마치 int("문자열")이라고 하면 문+자+열의 개념을 정수화한다는 개념인가요?
+0
2023년 5월 18일
아아 이해했습니당. for digit in "12345" 가 있다면 digit 에 "1", "2", "3", "4", "5" 가 순서대로 할당됩니당. 이걸 int() 를 통해 각각 숫자로 바꾼 다음 누적해서 더할 수 있게 만들어주는거죵
+0
베스트 댓글
2023년 5월 18일
누적하는 건 int() 와는 무관하고, 누적할 수 있는 숫자로 만들어주는게 int() 의 역할입니당.
+0
2023년 5월 18일
독학하면서, 많은 도움이 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0
2023년 5월 19일
저도 아는 건 별로 없지만 도움이 된다니 기쁘네용! 잘 이해 안되시는 건 언제든 커뮤니티에 올려주세용
댓글 8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