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썬에서 데이터를 다루다 보면 단순한 리스트로는 부족한 경우가 있어요. 예를 들어 사람의 이름과 나이, 제품의 이름과 가격처럼 값에 이름표(키)를 붙여서 저장하고 싶을 때가 있죠. 이럴 때 딱 맞는 자료형이 바로 딕셔너리(dictionary)예요.
이번 글에서는 파이썬 딕셔너리의 구조, 기본 문법, 자주 사용하는 기능들을 예제로 함께 알아볼게요.
딕셔너리는 키(key)와 값(value)이 짝을 이루는 자료형이에요. 리스트처럼 순서가 아니라 '이름'을 기준으로 값을 저장하고 꺼내기 때문에 훨씬 직관적으로 데이터를 다룰 수 있어요.
person = {
'name': 'Alice',
'age': 25,
'city': 'Seoul'
}
위 예제처럼 딕셔너리는 {}
중괄호로 만들고, 키: 값
형태로 요소를 나열해요.
딕셔너리는 키를 통해 값을 꺼내요. 리스트처럼 인덱스를 쓰지 않아요.
print(person['name']) # Alice
print(person['age']) # 25
없는 키를 조회하면 오류가 나요. 이럴 땐 get()
을 사용하면 안전해요. get()
은 키가 없을 때도 에러 없이 기본값을 반환해줘요. 두 번째 인자를 주면 원하는 기본값을 설정할 수도 있어요.
print(person.get('job')) # None
print(person.get('job', '없음')) # 없음
person['job'] = 'developer' # 새 키 추가
person['age'] = 26 # 기존 값 수정
del person['city'] # 특정 키 삭제
person.pop('job') # 키를 꺼내면서 삭제
딕셔너리도 for문으로 반복할 수 있어요. 다만 리스트와 달리, 기본적으로는 키만 순회해요.
for key in person:
print(key, person[key])
키와 값을 동시에 다루고 싶다면 items()
를 사용해요.
for key, value in person.items():
print(key, value)
딕셔너리는 실무 코드에서 정말 자주 등장하는 핵심 자료형이에요. 리스트보다 구조화된 데이터가 필요할 때 반드시 사용하게 돼요.
get()
, items()
같은 메서드를 함께 익히면 훨씬 유용하게 쓸 수 있어요.이 내용을 더 쉽고 재밌게 배우고 싶다면, 코드잇의 국비지원 강의 <Python 프로그래밍 기초> 과정을 추천드려요. 내일배움카드만 있다면 누구나 45만원 국비 지원을 받고 합리적인 비용에 수강할 수 있어요.